고지방식이 동물모델에서 크릴오일의 아디포카인 조절을 통한 항비만 효과Anti-Obesity Effect of Krill Oil by Regulation of Adipokines in High Fat Diet-Induced Mouse Model
- Other Titles
- Anti-Obesity Effect of Krill Oil by Regulation of Adipokines in High Fat Diet-Induced Mouse Model
- Authors
- 김지현; 허메이통; 서효정; 이동준; 조은주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산학기술학회
- Keywords
- Adiponectin; Adipokine; Leptin; Krill oil; Obesity
- Citation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21, no.11, pp 201 - 208
- Pages
- 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Volume
- 21
- Number
- 11
- Start Page
- 201
- End Page
- 208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148
- DOI
- 10.5762/KAIS.2020.21.11.201
- ISSN
- 1975-4701
2288-4688
- Abstract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크릴오일 섭취를 통한 비만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16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켜 비만 동물모델을 유도하였으며, 실험 종료 4주 전 크릴오일을 100, 200, 500 mg/kg/day의 농도로 4주간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 장기 무게 변화, 식이 효율과 혈청 내 아디포카인인 렙틴과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하여, 농도별 크릴오일의 비만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유도한 대조군은 정상식이를 유도한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여 비만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크릴오일 200, 500 mg/kg/day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 비만을 유도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지방식이를 유도한 대조군은 혈청 렙틴 증가 및 아디포아인 감소로 비정상적인 아디포카인 조절능을 나타낸 반면 크릴오일을 500 mg/kg/day 농도로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혈청 렙틴 감소 및 아디포넥틴 증가를 나타내어, 아디포카인 조절을 통한 비만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크릴오일의 투여는 아디포카인 분비 조절을 통해 체중을 감소시켜 비만 개선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체지방 개선용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자연과학대학 > 식품영양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