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the Play Beliefs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Peer Interactions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Play Beliefs and Play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Peer Interactions
Authors
전소영최선영
Issue Date
2021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유아교사;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 play teaching efficacy; playfulness; peer interactions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1, no.21, pp.611 - 628
Indexed
KCI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1
Number
21
Start Page
611
End Page
62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839
ISSN
1598-2106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변인들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45명을 대상으로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자료는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놀이신념에서 교사 연령, 경력, 학력, 근무기관 유형에서, 놀이교수효능감에서는 교사연령, 경력, 학력, 근무기관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아 놀이성의 차이에서는 담당학급 연령과 담당학급 유아 수에서, 유아 또래 상호작용의 차이에서는 교사 경력, 담당학급 연령, 담당학급 유아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유아의또래 상호작용과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간에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담당학급 유아 수와발달-규범 신념, 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담당학급 연령, 담당학급유아 수, 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상호작용의 발달을 위해서는 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을 발달시켜 나가는 것이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유아교육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Sun Young photo

Choi, Sun Young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