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s an Emergent Curriculum
- Other Titles
- 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s an Emergent Curriculum
- Authors
- 김대욱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Keywords
-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사의 역할; 발현적 교육과정; 레지오에밀리아; 발도르프;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eacher' s Role; Emergent Curriculum; Reggio Emilia; Waldorf
- Citation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1, pp.343 - 35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문화기술의 융합
- Volume
- 7
- Number
- 1
- Start Page
- 343
- End Page
- 351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555
- ISSN
- 2384-0358
- Abstract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고, 적합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의 역할은 지원자임을 명확히 하고 있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구를 통한 발현적 교육과정 가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교사가 유아의 근접발달지대를 적극 활용하여 구성주의적 실천을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발현적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은 비계설정을 활용하는 연구자 교사, 교육과정 운영에서 융통성 있는 교사, 자율성을 갖고 유아에 대한 믿음을 가진 교사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론으로 첫째, 교사는 개별 유아, 다수의 유아에게 최적의 놀이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적합한 비계설정을 할 수 있도록 관찰과 기록을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유아의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달에 적합한 발문을 수행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는 발현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유아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