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n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 Other Titles
-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n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dependence
- Authors
- 정하영; 최선영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Keywords
- 어머니; 양육태도;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스마트폰 과의존; Mother; Parenting Attitud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Smartphone Overdependence
- Cit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1, no.4, pp.883 - 90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 21
- Number
- 4
- Start Page
- 883
- End Page
- 902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519
- ISSN
- 1598-2106
- Abstract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350명이며, 2019년 12월 30일부터 2020년 1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스마트폰 과의존은 연구대상 일반적 특성 중 유아의 연령, 어머니의 학력, 직업, 월 평균소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살펴보면 양육태도 중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과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거부적 태도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중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과 금단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내성과는 부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스마트폰 과의존은 현저성과 문제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충독·강박사용, 금단, 내성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중 일상생활장애였다. 따라서 어머니의 올바른 양육태도 함양 및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합리적인 지도와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유아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