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자아개념과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이 초등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Self-Concepts and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n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 Other Titles
-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Self-Concepts and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n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 Authors
- 김대욱; 이경진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열린교육학회
- Keywords
- continuity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self-concept; in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유초연계; 자아개념; 내재화 문제행동; 외현화 문제행동; 초등기 학교적응
- Citation
- 열린교육연구, v.29, no.2, pp.239 - 26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열린교육연구
- Volume
- 29
- Number
- 2
- Start Page
- 239
- End Page
- 26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469
- DOI
- 10.18230/tjye.2021.29.2.239
- ISSN
- 1229-8379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만 5세 유아기에 나타난 자아개념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만 7세 초등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자료는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년) 조사와 8차년도(2015년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6차년도 자아개념,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 초등기 학교적응에 대한 응답이 있는 아동 882명이다. 연구 결과 자아개념, 문제행동, 학교적응 전체 간 중간 수준 이상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기 자아개념의 하위요인 중 중요성, 덕목을 가진 유아와 초등기 학교적응 간 낮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유아기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초등기 학교적응 간 낮은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유아기의 자아개념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초등기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 중 정서적 안정성과 불안/우울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며, 외현화 문제행동은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유아의 사회정서적 문제와 초등 학교적응의 관련성을 판단하는데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기에 내재화 문제행동이라고 여겨지는 민감하고 예민한 유아에 대해 이해적 지원이 필요하며,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조기 발견, 조기 중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는 다각적이고 실질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유아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