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그릿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Other Titles
-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Authors
- 김성은; 최선영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Keywords
- 유아교사;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그릿; 교사-유아상호작용;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grit; teacher-child interaction
- Cit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 no.2, pp.511 - 52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 22
- Number
- 2
- Start Page
- 511
- End Page
- 529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575
- ISSN
- 1598-2106
- Abstract
-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그릿,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변인들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경남지역 유아교사 341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27일부터 8월 14일까지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그릿,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그릿,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그릿,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의 평균 근무시간과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지속이었으며, 평균 근무시간이 10시간 이상 근무하는 교사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회복탄력성과 그릿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환경 개선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유아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