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Latent Class Classification and Contributing Factor Analysi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Other Titles
Latent Class Classification and Contributing Factor Analysi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uthors
한지희이문수
Issue Date
2022
Publisher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Keywords
의사소통 역량; 공감·소통; 잠재프로파일 분석;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Communication Competence; Empathy; Latent Profile Analysis; Korea Longitudinal Research 2013
Citation
미래교육학연구, v.35, no.1, pp 17 - 40
Pages
24
Indexed
KCI
Journal Title
미래교육학연구
Volume
35
Number
1
Start Page
17
End Page
40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417
ISSN
2671-6461
2671-647X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4차,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에 따른 잠재 계층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 요인인 공감과 소통을 중심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중·고등학생의 의사소통 역량을 ‘공감 부진-소통 하, 공감 부진-소통 중, 공감 부진-소통 상, 공감 양호-소통 하, 공감 양호-소통 중, 공감 양호-소통 상’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개인 특성 요인에서는 중학생은 여학생, 자아개념 및 공동체 의식이 높을수록, 고등학생은 학업성취도가 높거나 독서량이 많을수록 ‘공감 부진-소통 하’집단 대비 ‘공감 양호-소통 상’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특성 변수에서는 중학생은 부모의 정서적 교육지원과 부모-자녀 관계, 고등학생은 월평균 가구소득이 의사소통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변수에서는 중학생은 도시 규모, 교사와의 관계 및 교우관계, 고등학생은 수업방식이 의사소통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 현장의 수업 보완 및 효율적 운영, 가정에서의 자녀 지도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oon Soo photo

Lee, Moon Soo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