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의 구조적 관계 분석A Structural Relation Analysis of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Preschooler Self- regulation.
- Other Titles
- A Structural Relation Analysis of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Preschooler Self- regulation.
- Authors
- 고정리
- Issue Date
- 2019
- Publish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Keywords
- preschooler‘s peer play interactio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preschooler self-regulation.;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 구조적관계
- Cit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19, no.14, pp.543 - 57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 19
- Number
- 14
- Start Page
- 543
- End Page
- 579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9724
- DOI
- 10.22251/jlcci.2019.19.14.543
- ISSN
- 1598-2106
- Abstract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와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남 C시에 소재한 유아 25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11월 5일부터 9일까지 5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자기조절력의 구조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자기조절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은 유의한 부분매개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들이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을 원만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아동가족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