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음악 가치 요소 분석Analysis of Music's Value Elements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 Other Titles
- Analysis of Music's Value Elements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 Authors
- 하혜인; 윤성원; 조대현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 Keywords
- Analysis of music' s value elements; High school music textbooks; Revised curriculum of 2015; 음악의 가치 요소;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2015 개정 교육과정
- Citation
- 음악교수법연구, v.21, no.1, pp.207 - 24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음악교수법연구
- Volume
- 21
- Number
- 1
- Start Page
- 207
- End Page
- 241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8001
- ISSN
- 1738-5849
-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실린 음악 가치 요소에 대한 분석에 있다. 이에 연구자는 음악의 가치와 주요 가치 요소에 대해 고찰하고, 주요 관점에 따라 미학적 가치, 표현적 가치, 소통적 가치 등으로 분류하였다. 미학적 가치는 ①감정 전달, ②미적 경험, ③신체 반응, 표현적 가치는 ④오락 방법, ⑤상징적 표현 등으로 세분된다. 소통적 가치는 인류 사회적 관점과 인류사적 관점으로 나뉘는데, 이때 인류 사회적 관점은 ⑥사회규범, ⑦사회 통합, ⑧의사소통, 인류사적 관점은 ⑨문화와 사회의 연속성, ⑩기관의 의식 확인 등으로 세분된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한 분석은 첫째, 제재에 포함된 음악의 가치 요소, 둘째, 각 교과서에 포함된 음악의 가치 요소, 셋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포함된 음악의 가치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음악의 가치 요소를 음악 행위, 본질적 음악 지식을 요구하는 영역에서나 형식주의 혹은 표현주의, 절대 표현주의 미학적 입장에서의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교과서의 구성에 있어 여러 음악 가치 요소의 고른 배치가 요구된다. 셋째, 음악 가치 요소 중 표현적 가치의 ‘오락방법’과 소통적 가치 영역 내 인류 사회학 관점의 ‘사회규범’ 관련 내용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와 시도가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음악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