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 해마조직에서 lipopolysaccharide의 투여에 의한 신경아교세포 활성화 및 염증인자 증가Neuroglial Cells Activation and Inflammatory Factors Increase by Lipopolysaccharide Treatment in Adult Mouse Hippocampus
- Other Titles
- Neuroglial Cells Activation and Inflammatory Factors Increase by Lipopolysaccharide Treatment in Adult Mouse Hippocampus
- Authors
- 강주빈; 박동주; 고필옥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Keywords
- Hippocampus; Inflammation; Lipopolysaccharide; Nuclear factor kappa B; 해마; 염증; lipopolysaccharide; nuclear factor kappa B
- Citation
- 농업생명과학연구, v.54, no.1, pp.61 - 7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농업생명과학연구
- Volume
- 54
- Number
- 1
- Start Page
- 61
- End Page
- 7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984
- DOI
- 10.14397/jals.2020.54.1.61
- ISSN
- 1598-5504
- Abstract
- Lipopolysaccharide (LPS)는 염증유발 cytokine 분비를 자극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그람음성균의 내독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LPS가신경아교세포 활성과 해마에 있는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매개 염증유발 요소를 조절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성체 수컷쥐를 대조군과 LPS를 투여한 실험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vehicle 또는 LPS (250 μg/kg)를 5일 동안 복강투여하고 무게를 측정했다.
해마의 활성산소와 과산화지방질 수준을 분석하고, 형태학적 연구를 위해 Hematoxylin and eosin 염색을 시행하였다. 또한, 해마에서ionized calcium-binding adapter molecule 1 (Iba-1),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NF-κB, interleukin-1β (IL-1β),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 분석과 immunofluorescence 염색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LPS를투여한 쥐들의 체중이 감소하였다. LPS 투여는 활성산소와 과산화지방질 수준의 증가를 유발하였고 LPS를 투여한 쥐의 해마에서심각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했다. 또한 LPS 투여는 신경교세포와 별아교세포의 표시물인 Iba-1과 GFAP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NF-κB의 발현과 IL-1β와 TNF-α와 같은 염증성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LPS 투여는 해마손상과 염증반응을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LPS 투여가 해마조직에서 신경아교세포와 NF-κB에 매개된 염증인자들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LPS 투여는 해마조직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증가와 염증인자 활성을 증가시켜 신경손상을 유도함을 보여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수의과대학 > 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ine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