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술비평 교육을 위한 기술과 분석 지도법Applying Procedures of Description and Analysis for Teaching Art Criticism

Other Titles
Applying Procedures of Description and Analysis for Teaching Art Criticism
Authors
김수현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Keywords
critical procedure; critical discourse; critical inquiry; intrinsic criticism; 비평절차; 비평적 담론; 비평적 탐구; 내재적 비평
Citation
미술과 교육, v.21, no.2, pp 115 - 135
Pages
21
Indexed
KCI
Journal Title
미술과 교육
Volume
21
Number
2
Start Page
115
End Page
135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877
ISSN
1229-747X
Abstract
비평교육은 미술작품을 효과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비평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의 미술교육자 조지 게히건은 종래의 비평교육 방법을 비판하면서 이를 비평적 담론이라 부르고 그 대안으로 제시한 지도법에다 비평적 탐구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러한 이분법은 비평적 탐구에서 담론 즉 기술적 분석을 소홀히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노엘 캐럴은 비평의 중심이 이유에 근거한 평가이며, 기술, 분석, 해석 등의 비평적 작업들도 평가의 요소가 포함될 때 비평이 된다고 했다. 이러한 비평철학에 의거하여 미술비평 단계들을 순차적 절차가 아닌 단계별 완결성이라는 관점에서 교육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내용 분석, 형식 분석, 의미 해석, 가치 판단으로 이루어지는 비평단계들은 초점과 수준을 달리하여 평가적 판단을 포함하는 비평수행 단위들이다. 본 연구는 에드먼드 펠드먼의 기술단계와 분석단계를 순환성에 비춰 수정하며,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내용과 형식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는 기초 수준의 내재적 비평 활동을 제시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미술교육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