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또래애착 분산요인과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및 행복감의 관계: 사회관계모형의 적용The 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Variance Factors,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Happiness of Preschool Children
- Other Titles
- The 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Variance Factors,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Happiness of Preschool Children
- Authors
- 유여름; 조한익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한국아동교육학회
- Keywords
- 유아; 또래애착 분산요인;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행복감; 사회관계분석; Preschool children; Peer attachment variance factors;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ppiness; Social relations analysis
- Citation
- 아동교육, v.29, no.2, pp.195 - 214
- Indexed
- KCI
OTHER
- Journal Title
- 아동교육
- Volume
- 29
- Number
- 2
- Start Page
- 195
- End Page
- 21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808
- DOI
- 10.17643/KJCE.2020.29.2.10
- ISSN
- 1226-2722
- Abstract
- 본 연구는 사회관계모형을 적용하여 유아의 또래애착 분산요인을 행위자, 상대자, 관계성 요인으로 분해하고 또래애착 분산요인과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행복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18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아는 187명, 여아는 125명이다. 또래애착은 옥정의 척도를 검토한 후 한 문항으로 개발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은 정영미와 조한익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행복감은 이은주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또래애착의 분산요인은 행위자, 상대자, 관계성 요인으로 구분되 었으며 남아와 여아는 이러한 요인들에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또래애착의 행위자 요인은 사회적 숙달목표지향성, 사회적 수행목표지향성, 사회적 회피목표지향성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애착의 상대자 요인은 사회적 숙달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수행목표지향성과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회피목표지향성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애착의 행위자 요인과 상대자 요인은 행복감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또래애착 분산요인과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행복감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