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유전자교정기술을 이용한 식물의 phenylpropanoid 대사공학기술 개발 동향Research Trends on the Metabolic Engineering of Phenylpropanoid Compounds Based on the Gene-editing Technology

Other Titles
Research Trends on the Metabolic Engineering of Phenylpropanoid Compounds Based on the Gene-editing Technology
Authors
최인호신용욱이신우김윤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Keywords
대사공학; 유전자교정; 크리스퍼; 페닐프로파노이드 생합성경로; MYB 전사인자; CRISPR; Gene-editing technology; Metabolic engineering; MYB gene; Phenylpropanoid pathway
Citation
농업생명과학연구, v.54, no.5, pp.1 - 9
Indexed
KCI
Journal 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Volume
54
Number
5
Start Page
1
End Page
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524
DOI
10.14397/jals.2020.54.5.1
ISSN
1598-5504
Abstract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유전자교정기술은 식물이 생산하는 특정 이차 대사산물의 집적을 유도하기 위한 식물대사공학연구에 아주 유용하게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들 기술 들을 이용하여 만든 유전자교정 작물 중에 일부는 외래 DNA 단편이 잔존 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유전자변형작물의안전 관리규정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리뷰는 phenylpropanoid 대사과정에 의하여 합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이차대사산물을 집적시키기 위한 유전자교정 기술의 적용 연구결과 들을 조사하였다. 먼저, phenylpropanoid 생합성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를 암호하는 유전자들을 목표로 하여 식물의 종에 따라 특이하게 집적되는 flavonoids, anthocyanin, 수용성 tannins, 로즈마린산 등의 집적을 유도하거나화색을 변경하는 등의 성공적인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phenylpropanoid 대사과정의 조절에 최종조절 스위치 역할을 하는 수많은 종류의MYB 전사인자를 암호 하는 유전자를 목표로 하여 CRISPR 유전자교정을 시도한 연구결과들로부터 식물의 이차세포벽 형성에 관여하는 lignin, 물관부, cellulose 등의 생합성 조절 기작을 이해하고 MYB family에 속하는 수많은 종류의 유전자에 대한 개별적인 기능 분석 연구결과들을조사 분석하여, 문제점 및 향후 연구 방향 등을 검토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생물교육과 > Journal Articles
자연과학대학 > 항노화신소재과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un Hee photo

Kim, Yun Hee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