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온라인 패션 쇼핑 시 품절 반응에 따른 소비자의 시장세분화Post Hoc Market Segmentation of Consumer Responses to Stockouts in Online Shopping

Other Titles
Post Hoc Market Segmentation of Consumer Responses to Stockouts in Online Shopping
Authors
김주현곽영식이진화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패션디자인학회
Keywords
품절; 온라인 쇼핑; 소비자의 품절 반응; 사후적 시장세분화; 혼합 모델; stockouts; online shopping; consumer response; post hoc market segmentation; Mixture model
Citation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20, no.1, pp.73 - 91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ume
20
Number
1
Start Page
73
End Page
9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238
DOI
10.18652/2020.20.1.5
ISSN
1598-374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패션 쇼핑에서 소비자의 품절 반응을 사후적 시장세분화 방법으로 세분화하여세분 시장 간의 이질성을 찾고자 함에 있다. 사전적 시장세분화 방법은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할 수있다는 점 등의 단점으로 인하여 현실과 괴리가 있는 시장세분화가 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기존 소비자반응의 사전적 시장세분화 분석 단계에서 시장 수준을 현실적으로 분석하고, 품절 관련 연구에서 시도되지않은 Mixture model을 통한 사후적 시장세분화로 연구 분석단위를 심화시키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인지, 감정과 행동적 반응을 통합하여 품절 반응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526명의 참가자를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응답 결과는 Mixture model을 사용하여 6개의 사후적 세분 시장으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은 품절 상품 충성 집단, 긍정적 인식 집단, 부정적 인식 집단, 품절 무관심 집단, 품절 민감 집단및 미스터리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직업과 월 온라인 쇼핑 횟수에 따라 유의한 이질성이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 기업은 소비자의 자사 온라인 쇼핑 회원 가입 시에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직업 변수와 월 온라인 쇼핑 횟수 변수의 기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이후 해당 소비자가 품절을 경험했을 때 소비자의 품절 반응에 따라 긍정적인 품절 반응을 유도하는 대처방안을 찾아야 함을 알 수있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쇼핑 상황이 아닌 품절 상황 시 소비자 반응을 사후적 방법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실질적인 소비자의 품절 반응을 도출하였다는 것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가진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경영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wak, Young Sik photo

Kwak, Young Sik
경영대학 (경영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