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토종닭 5품종의 생산능력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open accessProduction Traits and Stress Responses of Five Korean Native Chicken Breeds

Other Titles
Production Traits and Stress Responses of Five Korean Native Chicken Breeds
Authors
조은정최은식정현철김보경손시환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가금학회
Keywords
스트레스 반응; 성장 능력; 산란 능력; 한국토종닭 품종; stress response; growth performance; laying performance; Korean native chicken breeds
Citation
한국가금학회지, v.47, no.2, pp 95 - 105
Pages
11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가금학회지
Volume
47
Number
2
Start Page
95
End Page
105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207
DOI
10.5536/KJPS.2020.47.2.95
ISSN
1225-6625
2287-5387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토종닭 5품종 (재래황갈종, 토착로드종, 토착레그혼종, 토착코니시종 및 한국오계)에 대한 생산 특성 및 생리적 특성을 제시하고자 이들의 생산능력, 강건성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으로 총 493수를 공시하고, 생산능력의 평가를 위해 생존율, 체중, 초산일령, 산란율 및 난중을 조사하였고, 강건성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텔로미어 함유율, heterophillymphocyte 비율, HSP-70, HSP-90α 및 HSP-90β 유전자 발현율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생존율은 토착로드종이 99%로 가장 높았고, 한국오계가 91%로 가장 낮았다. 발생시부터 50주령까지의 체중은 토착코니시종, 토착로드종, 한국재래닭, 한국오계, 토착레그혼종의 순으로 변동없이 높게 나타났다. 22주령부터 50주령까지의 평균일계산란율은 토착레그혼종이 75%로 가장 높았고, 토착코니시종이 1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리적 지표 분석 결과, 텔로미어 함유율은 토착로드종이 가장 높았으며, 토착코니시종이 가장 낮았다. Heterophil-lymphocyte 비율 및 HSP-90β 유전자 발현율은 공히 토착코니시종이 가장 높았으며, 토착로드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토착로드종이 스트레스에 저항성이 높고, 토착코니시종이 스트레스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할 때, 토착코니시종은 한국형 토종 육용 품종으로 개량함이 바람직하고, 토착레그혼종은 한국형 토종 난용 품종으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토착로드종은 양호한 생산능력과 뛰어난 강건성을 기반으로 한국형 토종닭 종계 모계통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되고, 재래황갈종은 우수한 육질을 바탕으로 차별화 된 고급육질형 토종닭 품종으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융합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