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백색레그혼 종에 있어 케이지 사육과 평사 사육 간의 생산능력과 스트레스 반응 정도 비교open accessComparison of Production Performance and Stress Response of White Leghorns Kept in Conventional Cages and Floor Pens

Other Titles
Comparison of Production Performance and Stress Response of White Leghorns Kept in Conventional Cages and Floor Pens
Authors
최은식조은정정현철김보경손시환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가금학회
Keywords
White Leghorn; conventional cages; floor pens; production performance; stress response; 백색레그혼; 케이지사; 평사; 생산능력; 스트레스 반응
Citation
한국가금학회지, v.47, no.3, pp.189 - 197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가금학회지
Volume
47
Number
3
Start Page
189
End Page
19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175
DOI
10.5536/KJPS.2020.47.3.189
ISSN
1225-6625
Abstract
본 연구는 케이지 사육과 평사 사육 형태에 따른 닭의 스트레스 반응 정도와 이들의 생산능력을 비교하고자 한 것이다. 시험은 단관백색레그혼 종 암컷 491수를 대상으로 하여 34주령부터 43주령까지 10주 동안 이들의 생산 특성을 조사하고, 스트레스 반응 지표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존율, 산란율 및 체중은 평사 사육군과 케이지 사육군 간의 차이가 없었고, 난중을 포함한 난각색, 난각무게 및 난백고 등 일부 난질은 케이지 사육 개체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과 비교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혈구 세포들의 텔로미어 함량 분석 결과, 평사 사육 개체들이 케이지 사육 개체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텔로미어 함유율을 보였지만(P<0.05), H/L ratio 값은 케이지 사육 개체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HSP-70, HSP-90α 및 HSP-90β 유전자 발현율에 있어, 모든 HSP 유전자 발현율이 케이지 사육 개체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에 비해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HSP-90β의 발현율을 제외하고 사육 형태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세포 내 DNA 손상률 분석에서도 케이지 사육 개체들의 모든 comet 지표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케이지 사육과 평사 사육 간에 개체들의 생산능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이나, 모든 스트레스 반응 정도 분석에서 케이지 사육 개체들이 평사 사육 개체들에 비해 높은 스트레스 지표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백색레그혼 종에 있어 생산능력과는 무관하게 케이지 사육 형태가 평사 사육 형태보다 더욱 높은 스트레스적 환경인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융합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hn, Sea Hwan photo

Sohn, Sea Hwan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융합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