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복분자 부산물 급여에 의한 버크셔 등심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비교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ork Quality of Berkshires Supplemented with Rubus coreanus By-product

Other Titles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ork Quality of Berkshires Supplemented with Rubus coreanus By-product
Authors
박지영정이형정종현박화춘문양수조광근남기창
Issue Date
2020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Keywords
돈육 품질; 복분자; 부산물; 항산화; Antioxidant; By-product; Pork quality; Rubus coreanus
Citation
농업생명과학연구, v.54, no.5, pp.81 - 90
Indexed
KCI
Journal 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Volume
54
Number
5
Start Page
81
End Page
9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159
DOI
10.14397/jals.2020.54.5.81
ISSN
1598-5504
Abstract
본 연구는 착즙이나 추출 후 폐기되는 복분자(Rubus coreanus) 부산물을 사료자원으로 급여한 버크셔 암컷과 거세돈의 육질특성을 알아보고자실시하였다. 시험 돼지는 Berkshire 품종 총 60두를 암수 구분하여 각 15두씩 임의 배치하였고, 복분자 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와 복분자부산물을 전체 사료의 0.3% 수준으로 출하 전 60일간 급여한 처리구(RC)로 분리하였다. 육질분석을 위하여 도축 후 예비 냉각한 좌반도체 등심부위를 채취하여 일반성분, 이화학적 육질특성, 지방산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대조구와 RC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육색에서거세돈육의 명도(L*) 값에서만 RC구에서 대조구 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p<0.05). 등심육의 pH와 보수력은 RC 급여에 의한 유의적 차이가없었으나, 전단력에서는 RC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TBARS 수치는 거세돈육의 RC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냈고, DPPH radical 소거활성에서도 거세돈육의 RC가 대조구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이는 성별에 의한 차이가 큰것으로 판단된다. 근내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은 RC 급여에 의한 영향보다는 성별에 의한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RC 급여에 따른 항산화특성 패턴이 다르게 나타난 것도 위와 같은 이유인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축산과학부 > Journal Articles
농업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융합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Kwang Keun photo

Cho, Kwang Keun
농업생명과학대학 (축산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