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LPS로 유도된 RAW 264.7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대환분 선인장 (Opuntia robusta)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Anti-inflammatory effect of Opuntia robusta extract against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 cells

Other Titles
Anti-inflammatory effect of Opuntia robusta extract against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 cells
Authors
정유리박진수이아영최진상
Issue Date
Dec-2024
Publisher
한국응용생명화학회
Keywords
대식세포 · 선인장 · 항염증 · Lipopolysaccharide · 3-O-methylquercetin; Anti-inflammatory · Lipopolysaccharide · 3-Omethylquercetin · Opuntia · RAW 264.7 cells
Citation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7, no.1, pp 195 - 202
Pages
8
Indexed
SCOPUS
KCI
Journal Title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ume
67
Number
1
Start Page
195
End Page
202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1276
DOI
10.3839/jabc.2024.027
ISSN
1976-0442
2234-794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L P 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마우스대식세포주에서 ORE와 유효성분으로 알려진 3-MeQ의 항염증효능을 알아보았다. ORE는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량을감소시켰으며, p-NF-κB 및 하위 조절 단계인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MeQ의 경우 NF-κB 활성을 억제시켰으나 NO 및 iNOS 생성 저해 효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ORE 또는 3-MeQ를 처리하였을 때 염증성 cytokine인 IL-6, IL-1β의생성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단백질 발현(IL-6, IL-1β, TNF-α)도 유사한 경향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ORE는 NF-κB 신호전달 경로 조절을 통하여 염증매개 인자 및 염증성 cytokine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ORE의 활성 성분인 3- MeQ의 염증 반응 조절 효능이 부분적으로 기여했으리라고 사료되나 NO 생성을 억제시키는 ORE의 또 다른 활성 성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식품공학부 > Journal Articles
자연과학대학 > 식품영양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Jine Shang photo

Choi, Jine Shang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