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粵語 사전의 어휘항목으로 살펴본 외래어의 변화양상 小考> : ≪港式廣州話詞典≫(1999)과 ≪香港粵語大詞典≫(2019)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Change of loanword as a Vocabulary Item in Cantonese Dictionary : Focusing on≪港式廣州話詞典≫(1999) and ≪香港粵語大詞典≫(2019)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 of loanword as a Vocabulary Item in Cantonese Dictionary : Focusing on≪港式廣州話詞典≫(1999) and ≪香港粵語大詞典≫(2019)
Authors
이혜림권호종
Issue Date
Mar-2024
Publisher
아시아.유럽미래학회
Keywords
중국어 방언; 광둥어; 외래어; 월어; 자모어; Chinese dialect; Cantonese(광둥어); Cantonese(粤語); loanword; alphabetic word
Citation
유라시아연구, v.21, no.1, pp 51 - 71
Pages
21
Indexed
KCI
Journal Title
유라시아연구
Volume
21
Number
1
Start Page
51
End Page
71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0156
ISSN
1738-3382
Abstract
粵語는 중국의 7대 방언 중 하나이다. 아편전쟁 이후 서구 문화의 유입과 함께 중국어권에서도영어의 외래어가 대거 출현하였는데, 특히 다른 지역에 비해 외국인과의 접촉이 빠르고 빈번했던 월어 사용지역은 매우 일찍부터 외래어를 대량 생산하였다. 99년의 영국 식민지 기간 동안 홍콩인들은 오랫동안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월어는 영어에서 외래어를 많이 흡수하고, 영어 어휘를 월어와 혼용하여 외래어를 형성하며, 심지어 영어 문자를 직접 사용하기도 한다. 본고는 지리적 위치와 역사적 사건을 통해 광둥어 외래어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港式廣州話詞典≫ (1999)과 ≪香港粵語大詞典≫(2019)의 두 사전에서 추출한 광둥어 외래어를 정리하여 차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월어 외래어가 원어에 미치는 영향과 당시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며, 월어 외래어의 언어적 특성을 파악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중어중문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