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바이든 행정부의 대외정책 인식과 한반도 외교안보환경 전망Biden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Perception and Prospects of Foreign and Securit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Other Titles
Biden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Perception and Prospects of Foreign and Securit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Authors
김영준
Issue Date
2021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Keywords
바이든 행정부; 대외정책; 한반도; 외교안보; Biden Administration; Foreign Policy; Korean Peninsula; Security
Citation
평화학연구, v.22, no.1, pp 129 - 146
Pages
18
Indexed
KCI
Journal Title
평화학연구
Volume
22
Number
1
Start Page
129
End Page
146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5438
ISSN
1738-2580
Abstract
본 논문은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정책전망에 대해 분석하고 한반도의 외교안보 환경에 미칠 파장에 대해 논하였다. 본 논문은 분석의 수준으로 개인 수준을 선택하였으며 분석의 대상으로 바이든 대통령, 국무부장관 앤쏘니 블링컨, 국무부 부장관 웬디 셔먼, 국가안보보좌관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조정관 커트 캠벨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섯 명의 정책결정자들에게 주목한 이유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특성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을 포함하여 이번 미국 행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담당하게 된 주요 정책결정자들은 대부분 다년간 외교·안보 분야의 공직 경험을 보유한 이들이다. 따라서 외교·안보 정책의 요직을 차지한 이들이 정보를 접수하여 새로운 관점을 형성하기 보다는 과거부터 실무에서 쌓아온 경험과 인식에 의존하여 정책결정 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이들은 모두 과거 함께 외교안보 정책결정에 참여한 경험을 가진 이들이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의 주요 공직 임명 행태에 비춰보면 주요 정책결정 시 과거부터 자신과 함께 일한 경험이 있는 이들에게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주요 정책결정자들의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바이든 정부의 주요 외교안보정책에 대해 전망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Department of Politic Science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ung Joon photo

Kim, Young Joon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