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종빈마의 서열이 자마의 상동증 및 섭식행위 억제에 따른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the Power Ranking of Mares on the Stereotypies and the Response Behaviors Against Restraining of the Desire to Eat in the Offspring of Haflinger Horse

Other Titles
Effect of the Power Ranking of Mares on the Stereotypies and the Response Behaviors Against Restraining of the Desire to Eat in the Offspring of Haflinger Horse
Authors
김미경김충희김현정황보덕문여황
Issue Date
2021
Publisher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연구소
Keywords
Stereotypy; Power ranking of mares; Response behaviors against stress; Haflinger offspring; 상동증; 종빈마 서열; 스트레스 반응행동; 하프링거 자마
Citation
동물자원연구, v.32, no.1, pp.9 - 15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물자원연구
Volume
32
Number
1
Start Page
9
End Page
1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418
DOI
10.12718/AARS.2021.32.1.9
ISSN
1225-2964
Abstract
본 연구는 하프링거(Haflinger) 종빈마 3두에서 태어난 자마(F1) 각각 3두씩(2-4년령), 총 9두를 이용하여 종빈마의 서열(상, 중, 하)에 따른 자마의 상동증 양상과 섭식행위 억제 시 나타내는 반응행동을 관찰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종빈마들은 구강 상동증과 운동성 상동증 행동을 전혀 하지 않았으나 자마의 경우, 종빈마 서열이 높을수록 구강 상동증 종류도 다양하고 지속시간도 길었다(p<0.05). 상위서열 자마는 3, 4세 때까지도 구강 상동증을 활발하게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석벽, 웅벽 및 선회벽과 같은 고질적인 운동성 상동증으로 진행되는 개체는 없었다. 자마의 섭식행위 억제에 따른 반응행동도 종빈마의 서열이 높을수록 구강 및 운동성 반응행동의 빈도수가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본 시험에서 나타난 자마의 구강 상동증은 성장과정 중에 발생하는 특징적인 행동이지만 승용마로 육성하는 경우, 종빈마의 서열이 높은 자마이거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행동이 지나친 자마는 마방 내 구강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상동증 초기에 행동수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융합학부 > Journal Articles
수의과대학 > 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ine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Chung Hui photo

Kim, Chung Hui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