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판데믹 전후의 컨테이너해운업 동향분석과 해운재건을 위한 정책 방향 제언Trend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Container Shipping Industry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
- Other Titles
- Trend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Container Shipping Industry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
- Authors
- 이태휘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항만경제학회
- Keywords
- COVID-19; 해운산업; 컨테이너해운; 해운정책; 해운재건; COVID-19; Shipping Industry; Container Shipping; Shipping Policy; Shipping Nation Rebuilding
- Citation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37, no.2, pp 19 - 31
- Pages
- 1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Volume
- 37
- Number
- 2
- Start Page
- 19
- End Page
- 31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5308
- ISSN
- 1225-3855
2714-1330
- Abstract
- 이 연구는 COVID-19 판데믹 전후 즉, 2019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의 해운경기와 동향분석을 통해이번 컨테이너 해운호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그 원인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 연구는 우리 해운기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책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확산이 유발한 수요감소에 대한 대응으로 선사들이 선박가동중단(idle)을 늘렸다는 언론 보도와는 다르게 스크러버 설치를 위해 가동중단선박이 급속히 늘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언한 정책방향으로는선박공급과잉의 원인 분석과 해운산업 증요성에 대한 전국민적 공감대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해운정책으로 인해 오히려 선박공급과잉이 심화되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두 번째, 해운정책의 기조 특히, 호황기 정책 기조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 세 번째, 불황기 공급확장 정책 이외에 호황기 공급조절 정책과 같은 해운정책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마지막으로, 정책 당국과 해운 관련 국책연구기관의 해운경기 예측력을 제고시켜야 하며, 지속적으로 선사CEO 대상 선박투자 세미나를 개최하고, S&P 전문가 및 해운시장 분석가를 양성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스마트유통물류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