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화 상담을 경험한 대학생의 인식과 상담 성과 요인: 경상남도 소재지 대학생을 중심으로The Recognition and Counseling Performance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Phone Counseling: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nam-do

Other Titles
The Recognition and Counseling Performance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Phone Counseling: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nam-do
Authors
김장회이현진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상담학회
Keywords
university students; telephone counseling; counseling experience; performance factors; document analysis; 대학생; 전화 상담; 상담 경험; 성과요인; 문서 분석
Citation
상담학연구: 사례및실제, v.6, no.1, pp.1 - 17
Indexed
KCI
Journal Title
상담학연구: 사례및실제
Volume
6
Number
1
Start Page
1
End Page
1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217
DOI
10.15703/kjccsp.6.1.202106.1
ISSN
2508-5360
Abstract
이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대학생이 경험한 전화 상담에 대한 인식과 상담 성과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화 상담을 받은 17명의 대학생이 작성한 상담 경험 보고서를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로 문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차 코딩에서 총 114개의 의미 있는 진술과 문장이 도출되었다. 2차 코딩에서는 1차 코딩에서의 의미 있는 진술과 문장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연결하여 6개의 부주제를 도출하였다. 3차 코딩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2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대학생이 경험한 전화 상담의 인식은 ‘환경적 편안함’, ‘심리적 편안함’,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이 경험한 전화 상담의 성과요인은 ‘상담의 기술’, ‘촉진적 역할’, ‘통찰적 역할’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상담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대학생이 경험한 전화 상담의 인식과 성과요인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전화 상담의 방향과 상담에 대한 함의 등이 제시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ang Hoi photo

Kim, Jang Hoi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