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인사관리제도의 비교The Comparison of HRM Systems between Korea and China
- Other Titles
- The Comparison of HRM Systems between Korea and China
- Authors
- 왕상; 이금희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 Keywords
- 인적자원관리제도; 삼성; 화웨이; LG; 하이얼; HRM Systems; Samsung; Huawei; LG; Haier
- Citation
- 산업혁신연구, v.37, no.2, pp.1 - 2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산업혁신연구
- Volume
- 37
- Number
- 2
- Start Page
- 1
- End Page
- 2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201
- DOI
- 10.22793/indinn.2021.37.2.001
- ISSN
- 2005-2936
- Abstract
- 기업의 인적자원관리는 오늘날의 글로벌 환경에서 기업경영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글로벌 경쟁에서 중요한 파트너이자 경쟁자로서, 1992년 수교이후 한중 양국은 활발한 물적 및 인적 교류를 해왔으며 경제공동체로서 상대방 국가로의 비즈니스 진출도 활발해 지고 있다. 하지만 90년대 이후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대략 80%가 사업실패와 함께 인적자원관리가 그 실패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인적자원관리가 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되고 있으면서 비즈니스 진출에 성공하려면 상대방의 인사관리제도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한중 양국의 인사관리제도를 단편적으로 언급한데 지나지 않았고, 특히 양국의 인사관리제도를 비교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을 시대별로 비교분석하고 양국의 대표기업인 삼성과 화웨이, LG와 하이얼의 사례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론적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의 결과, 중국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체제하에서 정부의 통제와 간섭이 많아 조직문화, 교육훈련, 평가, 노사관계 등 인사관리 전반에 걸쳐 정치적 색채(political color)가 짙었지만 한국은 자본주의와 자유시장체제로서 정부의 통제나 간섭이 상대적으로 적어 인사관리제도에 정치적 색채가 없었다. 이러한 정치적 간섭은 중국의 인사관리 발전에 큰 장애가 되기도 했지만, 다행히도 중국이 점차 서방의 선진적인 인사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성과주의 인사관리시스템으로 전환하여 현재는 오히려 한국보다 더 강도 높은 성과주의 인사제도를 실행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증거가 바로 삼성과 화웨이, LG와 하이얼 등 한중 대표기업의 사례비교이다. 이들 중국기업은 한국기업보다 단기 성과관리와 성과 서열화의 정도가 더 높았다. 하지만 90년대 중반까지 중국의 인사관리제도는 정부의 간섭이나 통제로 인해 정치적 색채가 농후하였기에 그 역사적 유산(legacy)이 지금도 중국기업의 곳곳에 남아있을 수 있어 글로벌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관리와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경영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