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PBL기반 플립드 러닝 교수설계 모형 개발Development of PBL-Based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y in High School Korean Subject Curriculum

Other Titles
Development of PBL-Based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y in High School Korean Subject Curriculum
Authors
김성태이동엽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Keywords
communication competency; PBL; flipped learning; Korean subject curriculum; ADDIE; 의사소통 역량; PBL; 플립드 러닝; 국어과 교육과정; ADDIE
Citation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27, no.3, pp.1037 - 1067
Indexed
KCI
Journal Title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ume
27
Number
3
Start Page
1037
End Page
106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028
DOI
10.15833/KAFEIAM.27.3.1037
ISSN
1229-7291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의사소통 역량을 함양하기 위하여 PBL과 플립드 러닝을 교수․학습 모형의 기저로 삼고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설계․개발 연구방법론에 기반을 두고,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PBL기반 플립드 러닝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한 교수설계 모형의 내적․외적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교수설계 초기 모형을 개발한 후 개발과정과 교수설계 모형에 대해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타당화 과정에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수설계 모형을 수정하고, 교수설계 모형에 따른 교수․학습 절차 원리를 도출하였다. 수정된 교수설계 모형을 바탕으로 현장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교수․학습계획안을 구상하였으며, 이 계획안으로 실제 수업을 실행한 후 현장교사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PBL기반 플립드 러닝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최종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의사소통 역량이 함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PBL기반 플립드 러닝 교수설계 모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를 통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교수․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고, 현재 원격수업이 이루어지는 각급 학교 상황에서 우려되는 학력 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Dong Yub photo

Lee, Dong Yub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