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계열 대학생용 학업상황 지루함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cademic Situation Boredom Scale for Students at a Teachers’ College
- Other Title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cademic Situation Boredom Scale for Students at a Teachers’ College
- Authors
- 조한익; 허혜민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교육심리학회
- Keywords
- 학업상황; 지루함; bifactor GR 모형; 개발과 타당화; 지루함 요인구조; academic context; boredom; bifactor GR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boredom factor structure
- Citation
- 교육심리연구, v.35, no.4, pp.609 - 64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교육심리연구
- Volume
- 35
- Number
- 4
- Start Page
- 609
- End Page
- 642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692
- DOI
- 10.17286/KJEP.2021.35.4.04
- ISSN
- 1225-4290
- Abstract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학업상황 지루함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사범계열 대학생 499명으로 남학생 192명, 여학생 307명이다. 학업상황 지루함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개념 고찰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업상황 지루함의 하위 요인을 개인, 과제, 학업일반의 세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문항개발을 위한 과정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통해 1차 예비문항 개발과 검토, 2차 예비문항의 개발과 검토를 하여 요인별로 7문항씩 총 21문항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21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잘못 적재된 문항을 제외하고 일반적 학업지루함 6문항, 학업관련 과제지루함 7문항, 학업관련 개인지루함 7문항의 총 20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학업상황 지루함 척도의 요인구조를 다차원 문항반응이론으로 살펴본 결과 bifactor GR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관련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서 지루함 성향, 수업지루함, 지루함대처전략, 특성메타기분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들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차원 신뢰도는 ω, ωH, ωHS를, 단일차원 신뢰도는 Cronbach α를 살펴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학업상황 지루함을 일반요인 또는 세 특수요인 점수를 모두 산출하여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범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상황 지루함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학업상황 지루함 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