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잠재집단 분류와 전이 영향요인 분석Latent Group, Transi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 Other Titles
- Latent Group, Transi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 Authors
- 허인화; 조한익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Keywords
- Career maturity; Latent group; Transfer; Adolescents; 진로성숙도; 잠재집단; 잠재전이; 청소년
- Citation
- 교육문화연구, v.27, no.6, pp 343 - 371
- Pages
- 2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교육문화연구
- Volume
- 27
- Number
- 6
- Start Page
- 343
- End Page
- 371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640
- DOI
- 10.24159/joec.2021.27.6.343
- ISSN
- 1598-9283
- Abstract
- 본 연구는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전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중학교 3학년(5차)과 고등학교 1학년(6차) 시기의 6,162명으로 남학생은 3,042명, 여학생은 3,120명이다. 연구결과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시기 진로성숙도 잠재집단은 4개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나 성숙하집단, 소극적 성숙집단, 성숙양호집단, 성숙우수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중학교 3학년의 성숙하집단은 고등학교 1학년의 소극적 성숙집단으로(46.8%), 중학교 3학년의 소극적 성숙집단은 고등학교 1학년의 성숙양호집단으로(44.6%), 중학교 3학년의 성숙양호집단은 고등학교 1학년의 성숙양호집단으로 (65.5%), 중학교 3학년의 성숙우수집단은 고등학교 1학년의 성숙우수집단으로(57.5%) 전이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3학년 진로성숙도 잠재집단이 고등학교 1학년 성숙하집단에 비해 소극적 성숙집단, 성숙양호집단, 성숙우수집단 으로 전이되는 데 있어서 수업이해도, 수업태도, 학업적 자아개념, 공동체의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성숙도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 또래, 진로관련 변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