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및 공동체 의식의 유형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Early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ense of Community: The Classification and Affecting Factors
- Other Titles
- Early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ense of Community: The Classification and Affecting Factors
- Authors
- 이문수; 박희진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Keywords
- 다문화사회; 다문화 수용성; 공동체 의식; 잠재계층성장모형; 종단연구;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acceptance; sense of community;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ongitudinal study
- Citation
- 다문화교육연구, v.14, no.4, pp.111 - 14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다문화교육연구
- Volume
- 14
- Number
- 4
- Start Page
- 111
- End Page
- 14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4616
- ISSN
- 2005-4963
- Abstract
-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과 공동체 의식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패널 5개년(초5∼중3)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을 파악하고, 각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정 및 학교 수준 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계층성장분석 및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기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과 공동체 의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수용성과 공동체 의식의 잠재계층은 각각 4개로 나타났으며, 변화 양상에 따라 ‘저수준 유지’, ‘저수준-증가’, ‘고수준-감소’, ‘고수준 유지’로 분류되었다. 셋째, 초등학생 시기에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관리, 교사관계 등이 높았으며, 중학생의 특성으로는 자아개념, 부모학업지원, 부모상호작용 등이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 시기에 공동체 의식이 높은 학생들의 특성으로는 자기관리, 독서활동, 교우관계 등이 높았으며, 중학생은 규칙준수, 부모학업지원 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 수용성과 공동체 의식 함양에 대한 공교육의 효과와 중요성 및 다문화 시대 시민성 함양을 위한 공교육의 진일보한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