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코로나 19 학습 상황에서 교사 역할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분석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s’ rol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Other Titl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eachers’ rol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uthors
한지희이동엽
Issue Date
2021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COVID-19;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x of in-person and remote learning; Teacher’s role; 코로나 19; 초등학생; 온-오프라인 혼합수업; 교사의 역할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1, no.4, pp 951 - 971
Pages
21
Indexed
KCI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21
Number
4
Start Page
951
End Page
971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502
ISSN
1598-2106
2671-776X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변화한 교육환경에서 교사 역할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교사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4~6학년 93명이며, 2020년 10월 28일부터 11월 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초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 성적, 학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일원분산분석, Scheffé 사후검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코로나 19 학습 상황에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역할을 총 8개 요인 27문항으로 추출하였다. 학습 안내자, 학습활동 관리자, 기술 지원자, 교수 설계자, 학습활동 조력자, 평가자, 상호작용 촉진자, 학습내용 전달자로 구성되며 이 순으로 교사의 역할 중요도를 인식하였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학습활동 관리자‧상호작용 촉진자‧학습내용 전달자‧학습활동 조력자‧교수 설계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성적에 따라서는 ‘평가자’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라서는 ‘평가자‧기술 지원자‧학습 안내자‧학습내용 전달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 학습 상황 속 온-오프라인 혼합수업에서 초등학생이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을 규명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습환경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Dong Yub photo

Lee, Dong Yub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