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Sophora japonica L.
- Other Titles
-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Sophora japonica L.
- Authors
- 박민정; 김혜수; 김한비; 이상균; 조수정
- Issue Date
- Oct-2022
- Publisher
- 한국생명과학회
- Keywords
- Antibacterial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biofilm biomass; Porphyromonas gingivalis; Sophora japonica
- Citation
- 생명과학회지, v.32, no.10, pp 792 - 802
- Pages
- 1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생명과학회지
- Volume
- 32
- Number
- 10
- Start Page
- 792
- End Page
- 802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9866
- DOI
- 10.5352/JLS.2022.32.10.792
- ISSN
- 1225-9918
2287-3406
-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유래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써 회화나무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회화나무 꽃(괴화), 열매(괴각), 가지(괴지)를 에탄올에 추출한 다음 회화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괴각, 괴지에 비해 괴화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 ORAC 지수는 괴지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회화나무 추출물 중 괴지 추출물이 P. gingivalis에 대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IC는 0.2 mg/ml이였다. 또한, 괴지 추출물은 0.4 mg/ml 이하의 농도에서 는 P. gingivalis에 대해 정균작용을 나타내었고, 0.6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살균작용을 나타내었다. 괴지 추출물(0.2-2.0 mg/ml)이 처리된 배양액에서 P. gingivalis KCTC5352의 바이오필름 형성과 세균 생육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섬모 관련 유전자인 fimA와 mfa1의 mRNA 발현도 괴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회화나무 추출물 중 괴지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높고, P. gingivalis에 대해 낮은 농도에서는 정균작용을 하고, 높은 농도에서는 살균작용을 하는 항균 소재일 뿐만 아니라 P. gingivalis의 섬모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초기 치면세균막 형성을 억제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기능성 식의약품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자연과학대학 >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Engineering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