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의 청렴 판단역량측정도구 개발 및 활용Making the Tool to Measure the Public Integrity Judgment of Public Officers
- Other Titles
- Making the Tool to Measure the Public Integrity Judgment of Public Officers
- Authors
- 박균열; 송도선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인문사회 21
- Keywords
- 핵심어: 공직자; 공직 청렴 판단력; 도덕적 딜레마; 도덕판단력측정도구(MCT); 도덕성 발달; Key Words: Mo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Competence; Moral Competence Test; Curriculum
- Citation
- 인문사회 21, v.13, no.1, pp 2607 - 2618
- Pages
- 1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인문사회 21
- Volume
- 13
- Number
- 1
- Start Page
- 2607
- End Page
- 2618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542
- ISSN
- 2951-049X
- Abstract
- 공직자의 청렴 판단역량측정도구 개발 및 활용박 균 열**ㆍ송 도 선***
요약: 이 연구는 공직자 청렴 판단력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공직자 청렴 판단력 측정도구는 공직자들이나 공직에 관하여 청렴의식을 고양하기 위해 현상태를 제대로 진단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독일의 Lind가 개발한 도덕판단역량측정도구(MCT)의 구성원리를 참조하였다. 즉, 청렴과 관련된 도덕적 딜레마를 동원하고, 그 찬성의 논거와 반대의 논거를 Kohlberg의 도덕발달 6단계 개념으로 구성했다. 이렇게 하여 이 연구는 가치의 위계와 가중치의 조화를 활용하여 도덕성을 측정하고자 한 Kohlberg 등과 같은 도덕심리학자들의 선행 연구의 전통을 계승했다. 그 결과 공직의 종류와 직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4가지의 도덕적 딜레마에 기반을 둔 청렴판단력 측정도구를 개발했다. 이후 학생 및 공무원 35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조사를 실시하고 회수된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양호한 신뢰도와 타당도 추정치를 나타냈다.
핵심어: 공직자, 공직 청렴 판단력, 도덕적 딜레마, 도덕판단력측정도구(MCT), 도덕성 발달
□ 접수일: 2022년 2월 16일, 수정일: 2022년 2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8일* 이 연구는 주저자(2016)가 참여한 미간행 연구보고서 공직자 청렴판단력 측정도구 개발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 중 일부를 현시점에 맞게 보완한 것임.
** 주저자, 경상국립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pgy556@daum.net)*** 교신저자,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dodam@gnu.ac.kr)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 사범대학 > 윤리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