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우리나라 전통서당의 역사성 연구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eodang(書堂)

Other Titles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eodang(書堂)
Authors
이경주박균열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민족사상학회
Keywords
Seodang; Primary education institution; Education method; Educational cont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서당; 초등교육기관; 교육방법; 교육콘텐츠; 무형문화재
Citation
민족사상, v.16, no.1, pp.105 - 129
Indexed
KCI
Journal Title
민족사상
Volume
16
Number
1
Start Page
105
End Page
12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505
ISSN
1976-6254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서당의 역사성을 살피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문헌적 연구를 통하여 전통서당의 기원과 변천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서원과 달리 우리나라 서당은 정의와 역사적 사실에 대한 뚜렷한 문헌적 뒷받침이 부족하였다. 그래서 학술적, 문화재적 가치까지 제대로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발전되어온 서당의 영속성을 통하여, 미래의 유산으로 자리매김하는 기초적인 사실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전통서당은 고대 시기부터 근대의 학교가 들어서기 이전까지 교육의 발원지였다. 당시의 서당은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었으며, 어린아이의 교육에서부터 성인의 사회진출을 위한 기초기관이었다. 특히, 유교적인 생활예절과 공동체 의식은 민족의 정기를 배양하기도 하였다. 교육의 기본적 개념인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였고, 개인의 차이를 인정하는 수준별 교육방법으로 오늘날의 대안 교육, 직무교육, 평생교육의 모범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서당의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의 예술적, 학술적, 고유성은 오늘날에까지 이어져 그 전승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가 유형의 서당으로만 문화재로 인정받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인문학적 자산과 교육학적 유산으로, 즉 무형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는데 그 기초가 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윤리교육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Gyun Yeol photo

Park, Gyun Yeol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