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과 내생 세균 자원에서 화상병원균에 대한 길항미생물 선발 및 분류Screening and Classification of Anti-Fire Blight Pathogen in Apple Endophytic Bacterial Library

Other Titles
Screening and Classification of Anti-Fire Blight Pathogen in Apple Endophytic Bacterial Library
Authors
김수현이수인공현기조경준곽연식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농약과학회
Keywords
항세균; 생물적방제; 화상병원균; 페니바실러스; 스트렙토마이세스; Antibacterial; Biological control; Erwinia amylovora; Paenibacillus; Streptomyces
Citation
농약과학회지, v.26, no.1, pp.16 - 26
Indexed
KCI
Journal Title
농약과학회지
Volume
26
Number
1
Start Page
16
End Page
2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442
DOI
10.7585/kjps.2022.26.1.16
ISSN
1226-6183
Abstract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병은 다양한 장미과 식물에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 국내 에서는 2015년 처음으로 화상병이 발생해 전국 사과와 배 과수원으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 화상병 확산에 따라 발병 초기에는 병든 과수원 반경 내 숙주식물을 모두 제거하고 , 화학물질 방제를 실시했지만 완전한 퇴치는 불가능 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적방제 후보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 사과 내성 세균 미생물 자원을 확보하고 , E. amylovora에 대한 항세균력 균주 선발을 수행하였다 . 그 결과 총 11개 화상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사과 내생 미 생물을 선발하였고 ,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Streptomyces sp. 또는 Paenibacillus sp.로 분류되었다 . 선발된 내생미 생물은 사과 잎에 접종하여 화상병에 대한 억제 능력을 검정하였으며 이는 사과 재배에서 화상병의 생물학적 방제제 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