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작용성과측정시스템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역할명확성의 조절효과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ole Clarity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ve PMS and Job Performance
- Other Titles
-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ole Clarity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ve PMS and Job Performance
- Authors
- 김달곤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관리회계학회
- Keywords
- interactive PMS; psychological empowerment; role clarity; job performance; 상호작용PMS; 심리적 임파워먼트; 역할명확성; 직무성과
- Citation
- 관리회계연구, v.22, no.1, pp.141 - 15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관리회계연구
- Volume
- 22
- Number
- 1
- Start Page
- 141
- End Page
- 159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344
- DOI
- 10.31507/KJMAR.2022.4.22.1.141
- ISSN
- 1598-978X
- Abstract
- [연구목적]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위해서는 미션과 성과 정보가 필요하며, 이런 정보는 상호작용PMS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호작용PMS의 핵심 개념이 모호하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자율성과 통제 개념 간에도 딜레마가 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역할명확성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얻었으며, 총 95부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MART PLS 3.0을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상호작용PMS와 직무성과 간에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성과 간에 역할명확성의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대신 역할명확성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의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상호작용PMS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한계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하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한 성과 개선을 위해서는 상호작용PMS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회계세무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