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The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ldhood Remote Education’ by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 Other Titles
- The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ldhood Remote Education’ by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 Authors
- 김은정; 하민경
- Issue Date
- Jun-2022
- Publish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Keywords
- 유아 원격교육; 은유 분석; 현직 유아교사; distance education for children; metaphor analysis; incumbent early childhood teachers
- Cit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 no.11, pp 147 - 161
- Pages
- 15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 22
- Number
- 11
- Start Page
- 147
- End Page
- 161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135
- DOI
- 10.22251/jlcci.2022.22.11.147
- ISSN
- 1598-2106
2671-776X
- Abstract
-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로 변화를 겪은 현직 유아교사들이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를 어떻게 이미지화 하는지를 살펴보고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체험주의 입장에서 인간의 개념체계나 생각을 시도 있게 들여다보기 위해 활용되는 은유 분석을 실시하였다.
원격교육의 경험을 지닌 유아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에서 유아교사는 ( )이다. 왜냐하면 ( )이기 때문이다.”로 구성된문장완성형 은유 분석 질문지를 배부하여 온오프라인 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엑셀로 정리한 후, 은유경향성과 은유유형을 밝히는 개념적 은유방법(Gok & Erdogan, 20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자들이 반복하여 읽으면서 분류, 범주화, 재범주화 등을 거쳐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현직 유아교사들은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를 로봇, 안내자, 연예인, 연구원, 만능, 리더, 가르치는 사람, 사라질 사람으로 이미지화 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유아 원격교육에서 자신들의 역할에 어려움과 한계를 인식함을 밝히고, 코로나 이후 유아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서도 다각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유아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