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실용닭의 암수 간 산육 능력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 비교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and Stress Response between Male and Female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 Other Titles
-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and Stress Response between Male and Female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 Authors
- 손시환; 조은정; 김기곤; 신가빈; 이슬기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가금학회
- Keywords
- growth performance; stress response; male and female;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산육 능력; 스트레스 반응; 암수; 토종실용닭
- Citation
- 한국가금학회지, v.49, no.2, pp.89 - 9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가금학회지
- Volume
- 49
- Number
- 2
- Start Page
- 89
- End Page
- 9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094
- ISSN
- 1225-6625
- Abstract
- 본 연구는 토종실용닭 암수 간의 생산 특성 및 생리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이들의 산육 능력, 강건성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살펴보았다. 시험은 토종실용닭 암컷 608수와 수컷 479수를 대상으로 1일령부터 12주간 실시하였다. 산육 능력의 평가는 체중, 사료 섭취량, 사료요구율을 조사하였고, 강건성 및 스트레스 반응 정도의 측정은 생존율, 텔로미어 함유율, DNA 손상률, heterophil-lymphocyte 비율, HSP-70, HSP-90α 및 HSP-90β 유전자 발현율을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암수 간의 체중은 2주령부터 시험 종료 시까지 수컷이 암컷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사료 이용성은 시험 전 기간 수컷이 암컷보다 많은 사료를 섭취한 반면 낮은 사료요구율을 보였다. 시험 전 기간 생존율은 암컷이 82.8%, 수컷이 73.8%로 암컷이 수컷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스트레스 반응 지표 분석 결과, 텔로미어 함유율, DNA 손상률, heterophil-lymphocyte 비율 및 HSP 유전자 발현율 모두에서 암컷과 수컷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토종실용닭 암수 간의 산육 능력과 생존율의 차이는 있으나 스트레스 반응 정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토종실용닭의 생산성 측면에서 암수의 생리적 특성과 무관하게 암컷과 수컷을 분리하여 사육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융합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