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초등학생의 우정에 관한 암묵적 이론과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비교의 매개효과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icit Belief of Friendship and the Soci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icit Belief of Friendship and the Soci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최수진조한익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아동교육학회
Keywords
Friendship; Implicit Theory; Social Comparison; Social Well-Be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우정; 암묵적 이론; 사회비교; 사회적 안녕감; 초등학생
Citation
아동교육, v.31, no.3, pp.199 - 224
Indexed
KCI
Journal Title
아동교육
Volume
31
Number
3
Start Page
199
End Page
22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999
ISSN
1226-2722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우정에 관한 암묵적 이론과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비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우정에 관한 암묵적 이론은 Kempner(2008)의 척도를, 사회비교는 Batenburg와 Das(2015)의 척도를 번안하고 타당화하여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안녕감은 류정희와 이명자(2007)가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3개 초등학교 5, 6학년 남학생 196명, 여학생 159명 총 355명이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7.00과 AMOS 27.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정에 관한 성장이론은 상향동일시, 하향대조, 사회적 안녕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상향대조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우정에 관한 운명이론은 상향대조, 하향동일시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상향동일시, 사회적 안녕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상향동일시는 사회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상향대조와 하향동일시는 사회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장이론은 상향대조와 상향동일시를 매개로 사회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운명이론은 상향대조와 상향동일시를 매개로 사회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우정에 관한 암묵적 이론과 사회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Han Ik photo

Cho, Han Ik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