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정서문제 잠재집단 전이와 가정과 학교관련 영향요인 분석Analysis of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and Factors of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on the Latent Groups in Middle School Students
- Other Titles
- Analysis of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and Factors of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on the Latent Groups in Middle School Students
- Authors
- 허인화; 조한익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교육심리학회
- Keywords
- 정서문제; 잠재집단; 전이; 중학생; emotional problems; latent group; transfer; middle school students
- Citation
- 교육심리연구, v.36, no.3, pp.433 - 46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교육심리연구
- Volume
- 36
- Number
- 3
- Start Page
- 433
- End Page
- 461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918
- ISSN
- 1225-4290
- Abstract
- 본 연구는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정서문제 잠재집단 전이와 더불어 가정과 학교관련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1차)과 중학교 3학년(3차) 시기의 2,384명으로 남학생은 1,278명, 여학생은 1,106명이다. 연구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와 중학교 3학년 시기 정서문제 잠재집단은 모두 3개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문제 하집단, 정서문제 중집단, 정서문제 상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하집단은 중학교 3학년 정서문제 하집단(62.2%)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은 중학교 3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58.3%)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상집단은 중학교 3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40.2%)으로 전이되는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정서문제 잠재집단이 중학교 3학년 정서문제 잠재집단으로 전이되는 데 있어서 가정경제수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학업시간, 학업무기력, 학업성취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과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정서문제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학교관련 변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