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고등학교 입학전형에서 학교별 인재상을 고려하는 개선 방향 탐색Explor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alent Image of Each School in the Science High School Admissions
- Other Titles
- Explor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alent Image of Each School in the Science High School Admissions
- Authors
- 황다현; 손정우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과학교육학회
- Keywords
- science high school; talent image; competencies; admission process; interview evaluation; 과학고등학교; 인재상; 역량; 입학전형; 면접 평가
- Citati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42, no.1, pp.51 - 6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Volume
- 42
- Number
- 1
- Start Page
- 51
- End Page
- 6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894
- ISSN
- 1226-5187
- Abstract
- 본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입학전형에 인재상을 고려하는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과학고등학교 인재상과 역량을 ‘공공성’과 ‘효용성’, ‘수행’과 ‘성과’ 유형으로 구분 하였는데, 대부분 ‘공공성-수행’이 우세하였다. 다음으로 3개 과학고 등학교의 입학전형에서 인재상 반영 정도와 개선 방향에 대한 설문조 사를 과학고등학교 교사, 교육 전문가, 중학교 교사 총 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1단계 전형에서는 ‘공공성’ 평가가 매우 제한적이었고, ‘성과’ 중심으로 선발하는 경향이 높았다. 둘째, 2단계 면접 평가에서는 ‘효용성-성과’ 중심으로선발하는 경향이 매우 강했다. 셋째, 1단계 전형에 ‘역량 중심의 자기 소개서 작성, 학교생활기록부의 타 교과 성적 및 비교과 반영, 전문가의 면담’을 도입하여 ‘공공성-수행’ 유형의 인재상에 부합하는 학생선발로 개선해야 한다. 넷째, 2단계 면접 평가에서 ‘공공성-수행’ 유형의 인재상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발산적 사고가 가능한 융합적이고 개방형 문항의 공동 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과학고등학교 입학전형에 인재상을 고려하는 개선 방향은 역량 중심의 1단계 서류평가와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2단계 면접 평가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물리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