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충렬왕 복위 연간 정치세력 분기의 양상 - 김방경 사후 禮葬 철회 사건으로부터The aspect of division of politicians after the reinstatement of King Chungnyeol

Other Titles
The aspect of division of politicians after the reinstatement of King Chungnyeol
Authors
이명미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Keywords
Kim Bang-kyung(金方慶); Kim Hun(金忻); Accusation case against Han Hee-yu(韓希愈); The dethronement and enthronement of Goryeo kings by the Mongol emperor(Jung-jo; 重祚); Ceremonial funeral(禮葬); 김방경; 김흔; 한희유 무고사건; 重祚; 禮葬.
Citation
역사문화연구, no.70, pp.85 - 118
Indexed
KCI
Journal Title
역사문화연구
Number
70
Start Page
85
End Page
11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0367
DOI
10.18347/hufshis.2019.70.85
ISSN
1598-6454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김방경 사후 그에 대한 禮葬이 ‘用事者’의 반대로 철회된 사실을 실마리로, 충렬왕-충선왕 간 重祚 시기의 정치적 상황과 정치세력이 분기해 나가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禮葬은 大臣의 喪을 당하여 국가 차원에서 행해지는 최고수준의 喪葬禮法이었다. 김방경에 대한 禮葬을 반대한 ‘用事者’는 前年에 김방경의 아들 김흔이 주도했던 ‘한희유 무고사건’에서 불궤를 도모한 혐의로 고발당했던 한희유였다. 한희유가 김방경에 대한 禮葬을 반대한 것은 자신에 대한 무고가 앞서 발생한 충렬왕-충선왕 간 重祚 사건의 여파로 발생한 사건이었다는 점과 관련된다. 충선왕을 지지했던 김흔 등이 충렬왕 및 그 지지세력에 대한 정치적 공세를 가한 상황에서 김방경에 대한 禮葬을 시행하는 것은 그 정치적 유산을 계승했던 喪主 김흔, 나아가 그 배후의 충선왕에게 정치적 면죄부를 주는 의미를 갖기 때문이었다. 사건 당시 한희유는 충렬왕 세력에, 김흔과 인후 등은 충선왕 세력에 포함되어 격렬하게 갈등했으나, 이들은 충렬왕대 전반기에만 하더라도 정치적 이해와 활동을 함께 하고 있었다. 그러한 점에서 김방경의 ‘義男’이기도 했던 한희유가 그에 대한 禮葬을 반대하기에 이르는 과정은 이 시기 고려의 정치세력들이 몽골과의 관계 속에서 분기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이기도 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역사교육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Myung Mi photo

Lee, Myung Mi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