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해상풍력단지 지원항만 여건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항만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Conditions Analysis and Assessment of Supporting Port for Offshore Wind Farm : Focusing on Ports in Gyeongsangnam-do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ditions Analysis and Assessment of Supporting Port for Offshore Wind Farm : Focusing on Ports in Gyeongsangnam-do
Authors
양항진장봉규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항만경제학회
Keywords
Offshore Wind Farm; Supporting Port; Ports in Gyeongsangnam-do; Assessment Criteria; 해상풍력단지; 지원항만; 경상남도 항만; 평가 기준
Citation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35, no.4, pp.85 - 106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ume
35
Number
4
Start Page
85
End Page
10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9842
DOI
10.38121/kpea.2019.12.35.4.85
ISSN
1225-3855
Abstract
해상풍력발전은 대표적인 재생에너지이며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산업으로 정부는 2030년까지 17.7GW로 확대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경상남도의 경우에도 욕지도에 461.9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이 추진중이며, 향후 1GW 규모 이상으로 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상풍력발전 기자재의 보관, 조립, 운송, 설치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지원항만은 해상풍력단지 개발사업의 원활한 진행과 경제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주요국 사례를 바탕으로 해상풍력 지원항만의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욕지도 해상풍력단지와 연계한 경상남도 소재 항만의 여건을 분석하고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평가 기준으로 해상풍력단지와의 거리, 입출항 제약, 항행수역, 어업권 요인, 부대비용, 안벽길이, 수심, 항만부지, 부두하중, 타 화물 간섭, 민원과 관련산업 집적으로 세분화하였다. 이후 경상남도 항만 중에서 통영항, 삼천포항, 고현항, 마산항, 진해항을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로 해상풍력단지와의 거리, 입출항 제약, 어업권 요인 등은 통영항이 우수하였으나, 안벽길이, 수심, 항만부지 등 다른 평가 기준에서는 대체적으로 삼천포항, 마산항, 진해항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해상풍력단지 개발사업과 연계하여 공공기관, 풍력사업자 및 정책입안자가 지원항만 선정에 필요한 사항을 평가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국제통상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iang, Bong Gyu photo

Chiang, Bong Gyu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국제통상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