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라인의 동물관(動物觀)과 불살생계(不殺生戒)Silla People’s View of Animals and the Commandments of Nonkilling

Other Titles
Silla People’s View of Animals and the Commandments of Nonkilling
Authors
나희라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종교학회
Keywords
view on animal; killing; hunting; story of retribution; Wongwang[圓光]; commandments of nonkilling; 동물관(動物觀); 살생; 사냥; 인과응보담; 원광; 불살생계(不殺生戒)
Citation
종교연구, v.79, no.2, pp.69 - 97
Indexed
KCI
Journal Title
종교연구
Volume
79
Number
2
Start Page
69
End Page
9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9711
ISSN
1226-3516
Abstract
수렵채집시대 이래 오랫동안 동물은 인간의 중요한 파트너였다. 인간은 동물이 인간과 함께 세계를 구성하는 동등한 존재라고 여겼다. 그러나 농경과 가축 사육이 진전되면서 동물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동물은 인간의 이익과 편의를 위해 사육되고 착취되며 마음대로 살해되어도 무방한 존재 가 되었다. 그런데 모든 유정적 존재가 영혼을 가지고 있고 생명의 욕구와 고통을 느끼며 윤회를 통해 그 존재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물을 죽이고 먹어서는 안 된다는 불교의 가르침이 전해졌다. 이 가르침은 동물을 학대하거나 죽이고 먹으면 벌을 받는다는 인과응보담으로 만들어져 생생하게 일반인에게 전달되었다. 신라에서 살생하지 말라는 가르침과 관련한 이야기는 주로 사냥에서 동물을 살해한 경험으로 참회하고 깨달음을 얻어 출가를 했다는 승려들에 관한 것이다. 신라인이 불살생계를 접했을 때 가장 극적이며 폭력적인 동물 살해의 행위인 사냥을 문제로 삼았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원광은 세속오계 가운데 인간과 동물 사이에서 벌어지는 살생의 문제를 ‘살생유택’이라 하여, 동물 살해는 시기와 대상을 가려서 신중하게 하라고 가르쳤다. 놀이로 행한 사냥은 ‘살생유택’의 가르침에 의하면 비판받아 마땅한 것이었다. 신라인의 사냥 이야기 중 놀이삼아 사냥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이야기가 여럿 있는데 이러한 가르침과 무관하지 않다. 불교의 불살생계는 신라인에게 동물을 대하는 태도의 기준을 다시 마련 해주는 것이었다. 이는 신라인의 생명윤리를 확장시켰으며, 이를 실천하는 것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상적인 인간이 되기 위한 첫 걸음으로 여겨지게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사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 Hee La photo

Na, Hee La
인문대학 (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