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과 가족회사의 산학협력 실태 및 활성화 방안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of Collaborations between Universities and Family Companies in Korea

Other Titles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of Collaborations between Universities and Family Companies in Korea
Authors
이종호장후은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경제지리학회
Keywords
산학협력; 대학; 가족회사(가족기업);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LINC+ 사업);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university; university family company; LINC+ Project
Citation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23, no.1, pp.71 - 81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ume
23
Number
1
Start Page
71
End Page
8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941
DOI
10.23841/egsk.2020.23.1.71
ISSN
1226-8968
Abstract
가족회사는 대학이 기업들과 다양한 형태의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한국 대학들만의 고유한 산학협력 관련 제도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추진되어 온 산학협력 사업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가족회사에 대한 현황과 실태 파악이 매우 중요하지만,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대학의 입장에서만 접근하고 있어서 한계가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전국의 가족회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회사 제도의 현황과 산학협력 실태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2004년에 도입된 가족회사 제도는 산학협력 관련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성과 지표 등으로 활용되면서 급속하게 확대되어, 2017년 현재 174,425개 기업이 가족회사로 등록되어 있다. 연구 결과, 복수의 대학들과 가족회사 관계를 맺고 있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들의 산학협력 수요와 만족도도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회사들은 공용장비 이용이나 공동연구 측면에서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인력양성 및 재교육 측면에서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산학협력을 통해 제품 품질향상 효과가 높다고 평가한 반면, 매출액 증대 효과 및 생산비 절감 효과는 낮게 평가하고 있다. 또한 산학협력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 확충 및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지리교육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Jong Ho photo

Lee, Jong Ho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