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국의 근대 학제 개혁The reform of the modern school system in China

Other Titles
The reform of the modern school system in China
Authors
이경자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교육사학회
Keywords
the modern school system; modern education; renyin․guimao school system(壬寅癸卯學制) renzi․guichou school system(壬子癸丑學制); renxu school system(壬戌學制); 근대 학제; 근대 교육; 임인․계묘학제; 임자․계축학제; 임술학제
Citation
한국교육사학, v.42, no.1, pp.89 - 11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교육사학
Volume
42
Number
1
Start Page
89
End Page
11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923
DOI
10.15704/kjhe.42.1.202003.89
ISSN
1225-1461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의 근대 교육 개혁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학제개혁의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대표적인 근대 학제로 시행이 된 임인․계묘학제(壬寅癸卯學制) 임자․계축학제(壬子癸丑學制), 임술학제(壬戌學制)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학제 개혁이 국내외적으로 미친 영향은 무엇이고, 지금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무엇인지 생각해보았다. 중국 근대의 학제 개혁은 아편전쟁(阿片戰爭), 태평천국운동(太平天國運動), 양무운동(洋務運動), 변법자강운동(變法自疆運動), 청일전쟁(淸日戰爭) 등 내란과 외세의 침입으로 인해 서구의 앞선 기술을 도입하여 나라를 구하고자 하는 필요성에서 제기되었다. 이에 임인․계묘학제를 비롯하여 임자․계축학제, 임술학제가 완성되어 중국의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를 하였다. 학제 개혁을 통해 중국은 전통 교육에서 서양식 근대 교육으로의 전환, 신식학교의 설립, 중국 최초의 교육부 설치, 소학교와 여성 교육의 확대 및 교육 체제가 구비되었다. 이로써 중국 근대 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현대교육의 토대를 완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근대의 학제 개혁 과정이나 그 내용을 살펴보면, 전통교육의 과오나 장단점을 제대로 비판하여 계승하지 못하고 일본과 미국의 학제를 모방하여 중국의 상황에 맞게 안착시키지 못해 여러 갈등을 야기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여전히 우리에게 제도의 주체적 수용의 문제를 어느 범주까지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과제를 남기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yung Ja photo

Lee, Kyung Ja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