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산청, 진주, 사천’ 지역에서 [산]을 가리키는 후부지명소의 분포Distribution of Back Part Morphemes pointing to [mountain] in 'Sancheong, Jinju, and Sacheon' areas

Other Titles
Distribution of Back Part Morphemes pointing to [mountain] in 'Sancheong, Jinju, and Sacheon' areas
Authors
박용식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지명학회
Keywords
Back Part Morphemes; Sancheong; Jinju; Sacheon; Mountain; 산; 후부지명소; 산청; 진주; 사천
Citation
지명학, v.32, pp.49 - 67
Indexed
KCI
Journal Title
지명학
Volume
32
Start Page
49
End Page
6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763
ISSN
1229-0378
Abstract
<한국지명총람>의 자료를 바탕으로 같은 방언권이라 할 수 있는 ‘진주, 산청, 사천’ 등에서 [산]의 후부지명소의 분포를 살펴 보았다. 지명의 후부요소 분포를 바탕으로 방언권을 설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해당 지역에서 [산]을 가리키는 ‘갓, 등, 만당/먼당/몬당/먼당이/먼댕이/몬댕이/몬딩이, 멀리/몰랑, 매/메/뫼, 덤/듬;드미;담, 까끔/가꿈/가끔/깍끔’ 등을 [산]의 후부지명소로 설정하고 그 분포를 살펴 보았다. 같은 방언권으로 논의되고 같은 문화와 역사를 공유한 지역이지만 지명을 중심으로 논의하면 세 지역의 차이가 나타난다. 세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후부지명소 가운데 [산]의 뜻으로 쓰인 것을 조사해 보면 덤/듬;드미;담‘은 산청, 사천’ ‘뻔덕’은 ‘진주, 사천’, ‘까끔/가꿈/가끔/깍끔’은 산청 지역에서 나타남을 보았다. 아울러 해당 후부지명소가 현행 사전에 기술되는 양상을 보았다. 방언 사전을 제작할 때는 해당 지역의 후부지명소는 모두 수록해야 됨에도 불구하고 <경남방언사전>의 경우 그렇지 못했다. 방언학의 일반적인 조사방법으로는 나타나지 않는 등어선도 후부지명소의 분포와 의미를 꼼꼼히 살피면 좀더 섬세한 방언권 설정이 가능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Yong Sik photo

Park, Yong Sik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