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거제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위내용물 조성Diet Composition of Whitespotted Conger, Conger myriaster in the Coastal Waters of Geoje Island, Korea

Other Titles
Diet Composition of Whitespotted Conger, Conger myriaster in the Coastal Waters of Geoje Island, Korea
Authors
김경률남기문박경현김병섭한명일곽주원백근욱
Issue Date
2020
Publisher
한국어류학회
Keywords
Conger myriaster; whitespotted conger; diet composition; Geoje; feeding habits
Citation
한국어류학회지, v.32, no.2, pp 103 - 109
Pages
7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어류학회지
Volume
32
Number
2
Start Page
103
End Page
109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761
DOI
10.35399/ISK.32.2.10
ISSN
1225-8598
2288-3371
Abstract
붕장어(Conger myriaster)는 2018년 6월부터 2019년 5월까지 거제 구조라, 망치 인근해역에서 장구형통발을 이용하여 매달 1회 채집해 이용하였으며, 항문장(Preanus length)과 습중량을 각각 0.1 cm, 0.1 g까지 측정한 뒤 위를 적출하여 가능한 종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위내용물 분석결과는 각 먹이생물에 대한 출현빈도(%F), 개체수비(%N), 습중량비(%W)를 구하여 상대중요도지수비(%IRI)로 수치화하여 주 먹이생물과 크기군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붕장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Pisces)였으며, 그중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로 확인되었다. 그 외, 새우류(Macrura), 패충류(Ostracoda), 갯지렁이류(Polychaeta), 게류(Brachyura) 등 다양한 먹이생물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과거 광양만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붕장어의 주 먹이생물이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으로 나타나 이번 연구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성장에 따른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뚜렷한 먹이전환이 나타나지 않았다. 붕장어는 성장함에 따라 개체당 평균 먹이생물의 개체수(mN/ST)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평균 먹이생물의 중량(mW/ST)은 붕장어의 항문장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해양과학대학 > ETC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Baeck, Gun Wook photo

Baeck, Gun Wook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