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고려 숙종대 南京 설치와 역사계승의식Establishment of Nam'gyeong (Southern Capital) and Notions of “Historical Inheritance”(歷史繼承意識) in Goryeo king Seongjong’s reign

Other Titles
Establishment of Nam'gyeong (Southern Capital) and Notions of “Historical Inheritance”(歷史繼承意識) in Goryeo king Seongjong’s reign
Authors
윤경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역사편찬원
Keywords
南京; 西京; 東京; 三京; 南平壤; 三韓一統意識; 平壤已南 百濟土地; Nam’gyeong(南京); Seo’gyeong(西京); Dong’gyeong(東京); Three Capitals(三京); Nam-Pyeong’yang(南平壤); Notion of “Three Hans being one”(三韓一統意識); Region below Pyeong’yang as having belonged to the late Baekje dynasty(平壤已南 百濟土地)
Citation
서울과 역사, no.105, pp.7 - 50
Indexed
KCI
Journal Title
서울과 역사
Number
105
Start Page
7
End Page
5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757
DOI
10.22827/seoul.2020..105.001
ISSN
2466-1465
Abstract
이 연구는 고려 숙종대 南京 설치의 의미를 역사계승의식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고려는 開京과 西京에 이어 東京을 두어 三京을 구성했는데, 이는 삼한의 일통에서 신라의 위상을 공인한 것이었다. 그러나 숙종대 동경을 배제하고 새로 남경을 설치하여 삼경을 재구성하였다. 이것은 삼한일통의식이 기존의 ‘결합적’ 의미에서 ‘융합적’ 의미로 전환되는 것을 반영한다. 남경 설치 논의에 인용된 圖讖에는 고려 중심의 天下와 함께 이 이념이 담겨 있다. 앞서 楊州가 南平壤으로 지칭된 것은 ‘平壤已南 百濟土地’라는 전통적 입론에서 평양을 양주에 비정함으로써 그 경계를 대동강에서 한강으로 바꾼 것이었다. 이는 고구려와 신라의 구분과 결합을 표상한다. 그런데 이곳이 南京이 되는 것은 여기에서 벗어나 그 자체로 삼한일통의식을 구현한 것이었다. 이는 기존 서경의 위상 약화를 수반하였다. 고려후기 遷都論이 대개 남경(한양)을 대상으로 한 것은 이러한 역사적 의미에 따른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사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oon, Kyeong Jin photo

Yoon, Kyeong Jin
인문대학 (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