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임파워링 리더십이 표면행동 및 내면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역할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Other Titles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Authors
조영삼이영우
Issue Date
2020
Publisher
글로벌경영학회
Keywords
임파워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표면행동; 내면행동;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Surface Acting; Deep Acting
Citation
글로벌경영학회지, v.17, no.3, pp 89 - 109
Pages
21
Indexed
KCI
Journal Title
글로벌경영학회지
Volume
17
Number
3
Start Page
89
End Page
109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7715
ISSN
2713-8941
Abstract
본 연구는 서비스 근로자를 대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표면행동, 내면행동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리더십과 감정노동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다양한 리더십 행위를 다루어 왔지만, 실제 현장에서 고객들과의 접점에 있는 서비스 근로자들에게 가장 필요할 수 있는 권한위임에 토대를 둔 임파워링 리더십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간과하였다. 또한 서비스 근로자들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는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감정노동의 심리적 자원으로서 긍정심리자본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원보존이론에 기반하여 임파워링 리더십이 표면행동 및 내면행동에 미치는 차별적인 효과와 그 심리적 메커니즘으로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행위로부터 많은 자원을 보유하게 된 부하직원에게 표면행동은 내면행동에 비해 더 나은 감정조절전략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긍정심리자본에 기반한 긍정적인 정서와 인지적 유연성은 부하직원의 정서적 상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표면행동보다는 내면행동을 취할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과 표면행동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내면행동과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역시도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내면행동의 정(+)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표면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역할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감정노동 연구분야에 대한 이론적 기여점과 서비스 근로자들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경영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Young Sam photo

Cho, Young Sam
경영대학 (경영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