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20년대 비평(사)의 문화적 배경 또는 논쟁의 심층The cultural background or the depths of argument in the 1920s criticism(history)

Other Titles
The cultural background or the depths of argument in the 1920s criticism(history)
Authors
최병구
Issue Date
2020
Publisher
구보학회
Keywords
내용-형식 논쟁; 아나키즘 논쟁; 대중화 논쟁; 법; 미디어; 사회주의; Content-Format Debate; Anarchism Debate; Commonization Debate; Law; Media; Socialism
Citation
구보학보, no.25, pp.335 - 361
Indexed
KCI
Journal Title
구보학보
Number
25
Start Page
335
End Page
36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676
DOI
10.35153/gubokr.2020..25.010
ISSN
2005-632X
Abstract
이 글은 식민지 시기 비평 논쟁을 ‘지식과 문화로서 사회주의’라는 시각에서 재독하였다. 구체적으로 ‘내용-형식 논쟁’(1926), ‘아나키즘 논쟁’(1927), ‘대중화 논쟁’(1929)을 살펴보았다. 세 논쟁에 일괄되게 흐르는 맥락은 자본주의 법과 미디어 체제에 대한 논객들의 대응이다. 이 글에서는 그 대응을 크게 세 가지로 유형화했다. 첫째 자본주의와 대립하는 체제로 사회주의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박영희와 볼셰비키파가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 자본주의 법과 미디어 체제 속에서 사회주의의 이상향을 대중들에게 전파하려는 시각이다. 김기진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셋째, 두 번째와 마찬가지로 법과 미디어 체제를 의식하지만 그것을 부정하며 대중들과 만나려는 시도로서 임화의 경우에 해당한다. 임화는 첫 번째와 두 번째를 횡단하며 활동했던 인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식민지 시기 비평 논쟁은 조직의 혁명론과 문화적 혁명론이 대립하며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가지 입장은 때로는 겹치고 또 엇갈리며 식민지 시기 사회주의 고유의 문화를 형성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Byoung Goo photo

Choi, Byoung Goo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