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한국 고위험 식물병 9종에 대한 예찰조사 보고2019 Monitoring Reports about Nine High Risk Plant Pathogens in South Korea
- Other Titles
- 2019 Monitoring Reports about Nine High Risk Plant Pathogens in South Korea
- Authors
- 이예영; 최옥희; 강병삼; 김승회; 김진우; 최재혁; 이지원; 남준혁; 박현진; 최용준; 김다운; 박용순; 최영준; 이재성; 김보라; 이동재; 박숙영; 김경희; 김영민; 정상윤; 이예림; 전용호; 김현섭; 권혁태; 김중연; 신용호; 전용철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Keywords
- Citrus disease; Grape disease; Sweet persimmon disease; Quarantine; 감귤병; 검역; 단감병; 포도병
- Citation
- 농업생명과학연구, v.54, no.4, pp.17 - 2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농업생명과학연구
- Volume
- 54
- Number
- 4
- Start Page
- 17
- End Page
- 2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675
- DOI
- 10.14397/jals.2020.54.4.17
- ISSN
- 1598-5504
- Abstract
- 최근 기후변화 및 국제교역량, 여행객, 외국 이주민 증가 등으로 국내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고위험 식물병의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있다. 검역 대상인 병원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검역기관 및 연구원의 업무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주요 수출대상 과수인포도, 단감, 감귤의 국내 미기록 병과 원인병원체에 대한 예찰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을 경기-강원, 충청, 전북, 전남, 경북, 경남 그리고제주 등 7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 소재 대학에서 예찰조사를 수행하여 예찰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포도 대상 병은 모두 4종으로, Pierce’s disease (Xylella fastidiosa), brown rot (Monilinia fructigena), anthracnose (Greeneria uvicola), 그리고 esca (Phaeomoniella chlamydospora)을조사하였고 경기-강원, 충청도, 전라북도, 그리고 경상북도 권역을 중심으로 각 권역당 3개 지역 그리고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단감은 모두 3종으로, brown spot (Fusicladium levieri), black leaf spot (Adisciso kaki), 그리고 black spot (Phoma kakivora)을 조사하였고국내 단감 주생산지인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권역을 중심으로 각 권역당 3개 지역 그리고 지역당 3개 지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감귤 대상 병은모두 2종으로, citrus scab (Elsinoë australis), Septoria spot (Septoria citri)을 조사하였고 감귤 주생산지인 제주권역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모두 9종에 대한 예찰조사는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예찰조사결과 주요 수출대상 과수인 포도, 단감, 감귤의 국내미기록병 9종에 대한 원인병원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식물병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전국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국외외래유입병들의 예찰조사를 위한 지역 거점을 확보하였다고 평가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식물의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